광명서울고속도로·부천 옥길 차고지 백지화 촉구 주말 집회 개최

김전태 기자

등록 2019-11-04 09:56

주말인 지난 2일 부천시 고강동과 구로구 항동 등지에서 광명서울고속도로 및 부천 옥길동 차고지 건설 반대 집회가 열렸다.


지난 2일 경기 부천시 고강동과 서울 구로구 항동 등지에서 광명서울고속도로 및 옥길동 차고지 건설 반대 집회가 열렸다. (사진=김전태 기자)

그동안 광명서울고속도로 반대 운동을 펼쳐온 항동지구 현안대책위는 고강대책위, 동부천IC대책위 등과 함께 오전 이른 시간부터 오후 늦게까지 도보 행진과 집회를 진행했다.


이들은 오전 11시쯤 부천시 고강동에 집결, 고강터널 입구 예상부지에서 옥길 차고지 부지까지 약 13km 가량 되는 거리를 행진했다.


행진 사이사이엔 "안전이 무너진다", "돈보다 사람이 먼저냐", "학교 밑에 발파 공사 웬말이냐", "불안해서 못살겠다" 등 구호를 외치며 집회를 열기도 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공사가 진행될 경우 발파 진동 때문에 지하수 침출, 지반 침하, 싱크홀 발생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수 만대 자동차가 내뿜는 매연과 분진으로 주민 건강이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될 거라며 고속도로 추진 반대 입장을 밝혔다.


또한, 옥길동 공영 차고지가 들어설 경우 항동지구 주택 단지와 불과 100m 거리에 위치하며, 인근에 항동초등학교가 있어 어린 학생들의 안전뿐 아니라 소음과 배기가스 등 문제가 발생할 거라고 지적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고강터널 입구 예상부지에서 옥길 차고지 부지까지 약 13km 가량 되는 거리를 행진하며 건설 반대 구호를 외쳤다. (사진=김전태 기자)

항동지구 현안대책위원장인 최재희 씨는 "앞으로 싸울 수 있는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지금 막아내지 않으면 최소 30년 동안 고속도로를 깔고 살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불행한 일을 막기 위해 조금만 더 힘을 내서 광명고속도로 철회를 위한 목소리를 내고 함께 모이자"며 참가자들을 독려했다.


한편, 항동지구 현안대책위와 지역 주민들은 그동안 진행해온 촛불집회 횟수를 늘리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앞에서 집회를 여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광명서울고속도로와 공영 차고지 반대 활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김전태

김전태

기자

관련기사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승인고시 철회, 재검토 촉구 광명-서울 고속도로 반대 주민, 문재인 대통령에 항의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서울 고속도 반대 주민 시민의견 전달키로 광명-서울 고속도로 통과 4개 지역 비대위, 함께 대책 논의 광명-서울 고속도 반대 ‘호소문’ 문재인 대통령에 전달...항동 홈타운 주민들 광명-서울 고속도 노선변경 요구...수목원홈타운 주민, 농성돌입 광명-서울 고속도 승인무효 소송 제기한 항동지구 입주예정자 4개 지역주민 이해 얽힌 광명-서울 고속도로...노선변경 협상 중 구로·강서·광명·부천 단체장, 광명-서울 고속도로 반대 건의서 작성 광명-서울 고속도로 대안노선 적용불가...시공사의 무책임한 대응 성난 현대홈타운 주민들, 광명-서울 고속도 반대 1인 시위 계속 광명-서울 고속도로 반대 항동 주민, 서울국토청서 '소복' 시위 조희연 교육감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사업 재검토 촉구한다” 항동 주민들 "광명서울민자고속도로 고시 철회" 촉구 집회 태영건설, '광명-서울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수주 공시 광명서울고속도로 '착수계' 제출...주민들 "약속위반" 반발 "주민들을 유령취급 하지말라"...광명서울고속도로 노선철회 촉구집회 "항동은 국토부 실험대상 아니다" 광명-서울고속도로 반대 집회 ‘책임’ 실종된 광명~서울 고속도로 주민 설명회, 방화동 주민들 집단 반발

헤드라인 뉴스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