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공공참여 가로주택·자율주택 정비사업 25일 합동 공모

송덕성 기자

등록 2021-05-25 10:44

LH와 '정비사업 합동공모' 공공성 강화 및 주민 참여도 높인다

사업절차 간소화, 신속 추진 가능 소규모 정비사업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가로주택과 자율주택 정비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지역주민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와 함께 '공공참여 가로주택·자율주택 정비사업 합동공모'를 25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가로주택과 자율주택 정비사업은 대규모 재개발·재건축 사업과 달리 사업절차를 간소화해 신속한 추진이 가능한 소규모 정비사업으로, 지난해 공모 결과 서울시 내 가로주택 정비사업을 대상으로 총 19곳, 뉴딜사업지를 포함한 자율주택 정비사업을 대상으로 총 15곳에서 사업 시행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국토부는 서울을 비롯한 주요도심 내 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 2월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제도'를 도입하고, 연내 관리지역 지정을 위한 선도사업 후보지 20곳을 발표한 바 있다.

 

올해 공모에서는 수도권으로 대상 사업지를 확대하면서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선도사업 후보지도 포함되며, 빈집을 포함한 사업지와 관리지역 선도사업 후보지 내의 사업지를 우선 검토한다.

 

가로주택과 자율주택 정비사업의 경우, 주택도시보증공사(HUG)를 통해 총 사업비의 50% 이상 융자를 지원하고 있으며 공공기관이 함께 참여함으로써 임대주택 건설에 따른 용적률 특례 등으로 사업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가로주택정비사업 안내 (자료=국토교통부)

‘공공참여 가로주택정비사업’으로 선정되는 사업지에는 용적률 완화를 통한 사업성 향상, 사업비 조달, 사전 매입약정, 재정착을 지원한다.

 

우선, 공공 참여 시 사업면적이 1만m2에서 2만m2로 확대되고, '국토계획법'에 따른 법적 상한 용적률 15층까지 건축이 가능하며, 분양가 상한제 적용에서도 제외된다.

 

아울러 주택도시보증공사(HUG)를 통해 연 1.2%의 저금리로 총 사업비의 최대 90%까지 사업비를 대여받을 수 있고, 일반 분양주택의 30% 수준에서 매입 약정을 체결해 사업추진 과정에서 미분양 위험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주비 융자금액을 3억원 한도, 연 1.2% 이율로 정비 이전 자산가치의 70% 또는 권역별 평균 전세가격의 70%까지 지원해 정비 이전의 자산가치가 과소 평가된 토지등소유자도 현실적인 이주비용 수준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소규모 주택정비 관리지역 내에서 추진하는 경우에는 가로구역 요건 완화, 용도지역 상향 등의 혜택도 받을 수 있다.

 

한편, '공공참여 자율주택정비사업'으로 선정되는 사업지에는 사업비 조달, 사전 매입약정, 재정착 등을 지원한다.

 

자율주택정비사업 공공참여 자율주택정비 사업구조 (자료=국토교통부)

이 경우에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를 통해 연 1.2%의 저금리로 총 사업비의 최대 90%까지 사업비를 대여받을 수 있고, 신축 주택의 최소 50% 이상 최대 100% 매입 약정을 체결해 사업추진 과정에서의 미분양 위험을 해소한다.

 

또한, 이주비 융자금액을 3억원 한도, 연 1.2% 이율로 정비 이전 자산가치의 70% 또는 권역별 평균 전세가격의 70%까지 지원하거나 LH 임대주택을 임시로 제공하고, 준공 후에는 세입자 등을 대상으로 해당 사업으로 건설한 신축 임대주택에 입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추가적으로,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내에서 추진하는 경우에는 대상지역 확대, 용도지역 상향 등의 혜택도 함께 받을 수 있다.

 

공모 접수는 우편 또는 전자우편으로 25일부터 7월 9일까지 진행되며, 이후 접수된 지구를 대상으로 사업성 분석, 주민협의 등을 거쳐 ‘공동시행 사업지구’로 최종 확정된다.

 

이후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안내책자 제작, 주민동의서 징구‧수집 등 행정절차 지원과 조합 또는 주민합의체 설립을 위한 컨설팅 제공 등 사업 추진과정 전반을 지원한다.

 

국토교통부 주거재생과 안세희 과장은 "공공기관과 함께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을 활성화해 공공성을 확보하면서 주민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노후 지역이 새롭게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송덕성

송덕성

기자

미디어캠프
발행인하성우
편집인하성우
연락처070)4639-5359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4동 502호
미디어캠프

미디어캠프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미디어캠프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