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일 "전 세계적으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부족이 최소 3분기까지 계속될 전망이므로 완성차 생산에 차질 없도록 민관이 합동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월 10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 "차량용 반도체가 자동차산업의 핵심부품이고, 미래차 전환으로 수요도 급증하고 있어 단기적 수급 불안 해소와 함께 중장기 공급망 개선·시장 선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단기 대응을 위해 입출국 방역편의 제공 등 기업의 해외조달 지원, 통관절차 간소화 등 관세행정 긴급지원, 단기 대체공급 가능한 차량용 반도체 긴급발굴·성능인증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소재·부품·장비 사례와 같이 핵심기술 개발, 생산역량 강화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 미래차 핵심 반도체 기술개발에 2022년까지 2000억원 이상을 집중 투입한다.
기업이 차량용 반도체 생산 관련 파운드리 증설을 추진할 시 산업은행·기업은행이 시스템반도체 등에 대해 시설·운영자금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산업구조고도화 프로그램' 등 획기적 우대지원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완성차 등 수요기업과 팹리스·파운드리 등 공급기업 간 협력 채널을 구축·정례화하고, 수요연계형 기술개발을 위한 온라인 매칭 플랫폼도 이달 내 구축한다.
정부는 초기 바이오 벤처기업 지원에도 박차를 가한다. 홍 부총리는 "올해 안에 K-바이오 랩센트럴 예비타당성 조사 등 관련 절차를 조속히 추진해 오는 2024년에는 바이오 벤처기업이 입주하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K-바이오 랩센트럴은 창업자들에게 공동 실험실과 연구 장비를 제공하고 벤처캐피털(VC)과의 연계를 지원하는 바이오 스타트업 지원기관이다. 아울러 공공부문이 앞장서서 BIG3 기업의 혁신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신제품 생산·판매 기회를 넓힌다.
정부는 이를 위해 지난해 10월 신설된 혁신제품 조달 패스트트랙 Ⅲ 범주에 BIG3 등 '혁신정책 연계형 세부트랙'을 추가하고 혁신제품 지정을 현재 462개에서 올해 올해 800개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송덕성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