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3일 지난달 한파로 인해 피해를 본 농가 6813호에 재해복구비 219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3일 지난달 한파로 인해 피해를 본 농가 6813호에 재해복구비 219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동해를 입은 채소류는 품목 구분 없이 ㏊당 240만원, 감자는 74만원의 농약대를 지원한다.
피해가 심해 다른 작목 파종이 필요한 경우 ㏊당 무·배추는 586만원, 토마토·고추는 1840만원, 딸기는 2264만원, 감자는 380만원의 대파대를 지원한다. 대파대는 단가 기준이며 보조 50%, 융자 30%, 자부담 20%다.
피해율이 50% 이상인 농가에는 4인 가족 기준 123만원의 생계비를 지급한다. 기존에 농축산경영자금을 지원받은 농가 중 피해율이 30% 이상이면 이자를 감면하고 상환을 연기해준다.
별도의 경영자금이 필요한 농가에는 재해대책경영자금을 추가로 지원한다. 재해로 일시적인 경영 위기에 처한 농가는 빌린 자금은 장기저리자금으로 대환을 지원하는 농업경영회생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농식품부는 재해복구비를 이날 지방자치단체에 교부하기로 했으며 해당 지자체를 통해 농업인에게 돌아갈 예정이다.
희망 농가는 읍·면·동에 비치된 신청서를 작성해 지자체 담당자의 확인을 받은 뒤 오는 4월 30일까지 지역농협에 신청하면 된다.
농식품부는 지난 1월 한파 기간 언피해 증상이 나타난 과수와 추가로 파악되는 품목의 피해에 대해서는 3∼4월 중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정밀조사를 거쳐 복구비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송덕성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