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하나은행 등 주요 은행, 가상화폐 거래소와 ‘거리’ 유지

김치원 기자

등록 2021-05-24 09:23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이 범죄·사고 연루 등에 우려감을 표하면서 가상화폐 거래소에 실명 확인 계좌를 내주지 않기로 했다. 

은행권이 가상화폐 거래소와 거리를 두려는 것은 계좌확보와 수수료 이익에도 불구하고 자금세탁·해킹·금융사고·범죄 등 우려감 때문이다.

2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KB·하나·우리금융은 가상화폐 거래소와 실명 입출금 계좌 발급 계약을 맺지 않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하나은행 등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이 범죄·사고 연루 등에 우려감을 표하면서 가상화폐 거래소에 실명 확인 계좌를 내주지 않기로 했다. (사진=김치원 기자)

현재 가상화폐 거래소에 실명계좌를 튼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 케이뱅크도 자금세탁방지 조직과 체계 보완을 거래소에 요구하는 등 면밀한 검증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월 시작된 특정금융거래법에 따르면 가상화폐 사업자는 자금세탁방지 시스템을 갖추고오는 9월까지 은행으로부터 고객 실명을 확인할 수 있는 입출금계좌를 연결해야 한다. 

은행은 해당 거래소의 자금세탁방지 위험도, 안전성, 건전성을 자체 평가한 뒤 계좌발급 여부를 결정한다.

주요 은행이 계좌발급에 부정적인 건 리스크 때문이다. 만약 계좌를 터 준 거래소에서 자금세탁 등 범죄나 금융사고가 벌어졌을 때 책임소재가 번질 가능성도 있다. 

검증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은행책임도 있다는 식의 논란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다.

만약 간접적으로라도 자금세탁에 연루되면 심각할 경우 국제 제재를 받을 위험도 있다. 타국의 결정에 따라 해외 지점의 업무가 중단될 수 있어 섣불리 동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최근 정부와 금융당국의 수장이 가상화폐 광풍과 자산인정 여부에 대해 부정적인 것도 걸림돌이다.  

 

김치원

김치원

기자

헤드라인 뉴스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