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만 19~39세 청년 인구, 주거, 일자리 등 생활 전반을 분석한 `서울특별시 청년 통계(2023)`를 최초로 발표한 가운데, 서울 청년 인구가 3년 연속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 가구 중 64% 이상이 1인 가구였으며, 이들의 상당수가 50㎡ 미만의 소형 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청
서울시가 7개 분야 37개 세부지표를 분석하여 공개한 이번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서울 거주 청년 인구는 286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30.5%를 차지했다.
서울 청년 인구는 2016년 318만 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서울로 순유입된 청년 인구는 2022년 31,551명, 2023년 27,704명, 2024년 15,420명을 기록하며 3년 연속 순유입 추세를 보였다.
2023년 한 해 동안 서울에서 타 지역으로 전출한 청년 약 23만 5천 명은 가족(34.9%), 직업(6.7만 명), 주택(4.9만 명) 등을 이유로 꼽았으며, 타 지역에서 서울로 전입한 청년 약 26만 2천 명은 직업(46.4%), 가족(4.9만 명), 교육(4만 명) 등을 주요 이유로 들었다.
서울 전출입 청년 인구 (단위 : 명)
2022년 기준 ‘청년 가구(가구주가 만 19~39세인 가구)’는 총 120만 가구로, 서울 전체 가구의 29.3%를 차지하며 2016년 대비 13.7% 증가했다.
이 중 ‘청년 1인 가구’ 비율은 2016년 51.26%에서 2022년 64.48%로 13.22%포인트(p) 급증했다. 청년 남성 1인 가구(59.06%)에 비해 청년 여성 1인 가구(70.61%)가 10%p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청년 가구와 청년 1인 가구 비율
주거 형태에 있어서는 청년 가구의 44% 이상이 50㎡ 미만 소형 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2016년 32.65%에서 2022년 44.21%로 6년 새 약 11%p 증가했다.
또한, 청년 가구주 주택 중 아파트(29.96%→26.80%)와 단독주택(33.32%→28.34%) 비율은 감소한 반면, 오피스텔 등 주택 이외 거처는 2016년 11.81%에서 2022년 18.54%로 증가하며 주거 형태가 점차 다양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청년 경제활동인구는 2023년 기준 약 208만 명이며, 이 중 취업자는 약 198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청년 경제활동인구와 취업자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감소했으나, 최근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청년 경제활동인구(2023년 기준)
2016년 청년 경제활동인구는 2,085,152명, 취업자는 1,955,691명이었으나, 팬데믹 시기인 2020년에는 각각 2,034,179명과 1,877,632명으로 감소했다. 이후 2022년에는 2,056,385명과 1,946,487명으로, 2023년에는 2,082,490명과 1,978,699명으로 다시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서울 청년들이 근무하는 사업체 형태는 회사 법인(58.0%)이 가장 많았고, 종사자 규모로는 300명 이상 기업체(39.9%)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주거, 고용, 건강 등 청년 생활 전반에 걸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된 통계를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오늘을 살아가는 청년 삶에 꼭 필요한 정책과 사업을 더 정교하게 발굴 및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2023 서울특별시 청년 통계」는 서울열린데이터광장 누리집(data.seoul.go.kr)에서 확인 및 내려받을 수 있다.
이민호
기자
헤드라인 뉴스
-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 통신비와 차량 연료비까지 확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8월 6일 `부담경감 크레딧`의 사용처를 통신비와 차량 연료비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8월 6일 `부담경감 크레딧`의 사용처를 통신비와 차량 연료비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기존에는 전기·가스·수도요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총 7개 항목에 한해 크레
-
환경부 장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유족에 직접 사과
환경부(장관 김성환)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안호영 위원장과 함께 8월 6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단체 대표들을 만나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다. 김성환 환경부장관이 6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대표와의 간담회에서 피해자 분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해 6월 대법원이 가
-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전남 집중호우 피해 현장 점검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8월 6일 지난 3~4일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가 집중된 전라남도 함평군과 무안군 일대 현장을 방문해 응급 복구 상황을 점검했다.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5일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호우 대처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8.6~7일 취약시간대 호우 대
-
중소기업부, 관세 현안·수출 애로 해소 위한 정책현장투어 실시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8월 6일 중소기업 분야 정책현장투어 두 번째 행선지로 경기도 소재 `실리콘투` 물류센터를 방문해 수출 중소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6일 경기 광주 (주)실리콘투에서 열린 `제2회 중소기업 정책현장투어`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안전은 타협 불가" 근로복지공단, 중대재해 제로화 위한 안전경영 본격화
근로복지공단(이사장 박종길)은 국민과 직원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중대재해 제로화를 위한 선제적 안전경영을 본격 추진한다고 8월 6일 밝혔다. 지난달 25일, 근로복지공단 박종길 이사장이 인천 남동구 구월동 경인지역본부 신축공사 현장에서 안전경영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안전경영 강화 조치는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중대재해 근절을 위해
-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취임 첫 행보로 12·29 여객기 참사 유가족 만나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8월 6일 오전 무안국제공항을 방문해 12·29 여객기 참사 유가족과 면담을 갖고 사고현장을 점검하며 정부의 소통 의지를 보였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8월 6일 오전 무안국제공항을 방문해 12 · 29 여객기 참사 유가족과 면담을 갖고 사고
-
바다와 숲이 공존하는 안산 바다향기수목원, 여름 휴가 명소로 주목
바다와 숲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경기도 안산 대부도 바다향기수목원이 여름 휴가철을 맞아 방문객들의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 암석원의 여름시원한 바닷바람을 맞으며 서해안을 조망할 수 있는 이곳은 다양한 여름꽃들이 만개해 싱그러움을 더하고 있다. 바다향기수목원에는 산림청 지정 보호식물인 개정향풀을 비롯해 무궁화, 나무수국, 능소화 등 나무의
-
고양시청 역도팀 국제대회 선전…`나고야 아시안게임` 메달 기대감 높여
고양특례시 소속 직장운동경기부 역도팀이 중국 푸저우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역도선수권대회` 및 `2025 한·중·일 국제역도경기대회`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총 금메달 9개, 은메달 3개를 획득했다. 고양시청 역도팀 국제대회 선전...`나고야 아시안게임` 메달 기대감 높여이번 대회는 동아시아역도연맹 및 한중일 3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