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연금 부정 수급액이 지난 5년간 32억 5000만원에 이르지만 현행 군인연금법에 따르면 환수 대상 기간이 최대 5년에 불과해 실제 환수대상액은 23억 9000만원으로 76.6%였고 이중 환수액은 15억 4000만원으로 실질 환수율은 47.5%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국회 국방위 소속 국민의힘 이채익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군인연금 부정 수급액은 ▲2016년 17억원 ▲2017년 3억 2000만원 ▲2018년 4억 5000만원 ▲2019년 5억 9000만원 ▲2020년 9월까지 1억 9000만원으로 지난 5년간 부정수급액이 3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수대상액은 ▲2016년 13억원 ▲2017년 3억 2000만원 ▲2018년 3억 4000만원 ▲2019년 3억 4000만원 ▲2020년 9월까지 1억 9000만원으로 실제 환수대상액은 24억원이었으며 전체 부정 수급액 대비 76.6% 수준이었다.
부정 수급액에 대한 환수액은 ▲2016년 9억 5000만원으로 55.8% ▲2017년 2억 3000만원으로 73.4% ▲2018년 1억 4000만원으로 33% ▲2019년 2억원으로 34.5% ▲2020년 9월까지 700만원 3.6%으로 지난 5년간 군인연금 부정 지급에 따른 실질 환수액은 15억 4000만원, 47.5%이었다.
최대 환수 기간에 따른 명목 환수율도 61.9%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군인연금 지급 이후 최대 부정 수급 사례는 지난 2016년 적발된 건으로 A씨는 무려 25년 10개월간 남편 B씨의 사망 신고를 의도적으로 신고하지 않고 3억 5000만원에 달하는 연금을 부정 수급했다. 반면 환수대상액은 1억 1000만원으로 전체 부정 수급액의 31.6%에 불과했다.
또한, 30년 10개월간 재혼 사실을 숨기고 2억 3000만원의 유족연금을 부정 수급한 C씨의 경우 실제 환수대상액은 7400만원으로 전체 부정 수급액의 31.8%에 불과했다.
이처럼 환수 대상 기간이 최대 5년에 불과해 군인연금 및 유족연금 지급 상실 신고를 의도적으로 신고하지 않거나 지연 신고하는 경우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이채익 의원은 “군인연금 부정 수급에 따른 환수 기간이 최대 5년밖에 되지 않아 제도의 허점을 노리고 사망, 재혼 등을 신고하지 않거나 지연 신고하는 경우가 계속해 발생한다”며 “국방부가 환수 기간을 늘리거나 법무부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성창하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