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기업 한국전력공사의 갑질문화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9년 한전의 윤리경영 인식진단 자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년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 경험/목격에 ‘자주 있음, 가끔 있음’에 응답한 직원들은 무려 583명이다. 응답률이 21.1%에 불과한 것을 보면, 실제 경험, 목격자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부 고발자의 안전 또한 보장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비밀 보장이 안 된다’는 응답이 무려 46.3%었다. 괴롭힘, 성희롱에 대한 신고가 2.6%에 불과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한전이 조정훈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고위직의 윤리경영 솔선수범’이 5점 만점 중 ‘17년 4.42 → ‘19년 3.96으로 급락했다. 대한민국 청년들이 가장 선망하는 공기업의 조직문화가 과거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그대로 드러내 주는 민낯이다.
그 외에도 윤리경영 인식진단 대부분의 항목이 17년보다 하락했다.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업무처리 시 연고 관계의 영향으로 17년 3.78 → 19년 3.15를 기록했다. 조정훈 의원은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데 연고 관계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공정성·투명성을 크게 저해하는 행위”라며, “반드시 한전은 이런 의혹들을 해소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협력회사에 대한 갑질 관행 항목은 17년 4.62 → 19년 4.30으로 하락했다. 국내 최대 공기업 한전과 연관된 사업체만 약 300여 곳이다. 공익제보에 따르면, 모 본부장은 “자신이 감사에 관여하고 있음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며, 투서를 넣은 사람의 자리를 없애버려야 한다”고 공개석상에서 발언했다.
조 의원은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한전은 그만큼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며, “아직도 구타-집단 내 괴롭힘·성희롱이 만연하고 양심 있는 내부 고발자들이 발붙일 곳이 없다면, 한전에는 미래가 없을 것이다”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조 의원은 “한전의 조직 구성원들이 행복하고 편안하게 일을 할 수 있도록 갑질문화를 버려야 한다”고 직언했다.
성창하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