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훈 의원, “한전, 갑질문화 뿌리 뽑아야”

성창하 기자

등록 2020-10-15 18:28

한전, 19년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 경험 목격자만 583명

협력회사에 대한 갑질 관행 응답자 322명

공익제보 19년부터 20년 6월까지 총 150건



국내 공기업 한국전력공사의 갑질문화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9년 한전의 윤리경영 인식진단 자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년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 경험/목격에 ‘자주 있음, 가끔 있음’에 응답한 직원들은 무려 583명이다. 응답률이 21.1%에 불과한 것을 보면, 실제 경험, 목격자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부 고발자의 안전 또한 보장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비밀 보장이 안 된다’는 응답이 무려 46.3%었다. 괴롭힘, 성희롱에 대한 신고가 2.6%에 불과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한전이 조정훈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고위직의 윤리경영 솔선수범’이 5점 만점 중 ‘17년 4.42 → ‘19년 3.96으로 급락했다. 대한민국 청년들이 가장 선망하는 공기업의 조직문화가 과거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그대로 드러내 주는 민낯이다.

 

그 외에도 윤리경영 인식진단 대부분의 항목이 17년보다 하락했다.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업무처리 시 연고 관계의 영향으로 17년 3.78 → 19년 3.15를 기록했다. 조정훈 의원은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데 연고 관계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공정성·투명성을 크게 저해하는 행위”라며, “반드시 한전은 이런 의혹들을 해소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협력회사에 대한 갑질 관행 항목은 17년 4.62 → 19년 4.30으로 하락했다. 국내 최대 공기업 한전과 연관된 사업체만 약 300여 곳이다. 공익제보에 따르면, 모 본부장은 “자신이 감사에 관여하고 있음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며, 투서를 넣은 사람의 자리를 없애버려야 한다”고 공개석상에서 발언했다.

 

조 의원은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한전은 그만큼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며, “아직도 구타-집단 내 괴롭힘·성희롱이 만연하고 양심 있는 내부 고발자들이 발붙일 곳이 없다면, 한전에는 미래가 없을 것이다”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조 의원은 “한전의 조직 구성원들이 행복하고 편안하게 일을 할 수 있도록 갑질문화를 버려야 한다”고 직언했다.

성창하

성창하

기자

미디어캠프
발행인하성우
편집인하성우
연락처070)4639-5359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4동 502호
미디어캠프

미디어캠프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미디어캠프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