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진 의원 "보훈처, '독립유공자 발굴' 북한과 공동 연구해야"

성창하 기자

등록 2020-10-15 18:07

“잊힌 독립운동가 찾아야…대한민국 정통성 세우는 의미 있는 일”



박용진 의원은 국가보훈처에 독립유공자 발굴 및 서훈작업을 북한과 협력해서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오늘 15일 목요일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삼득 국가보훈처장에게 항일 운동을 했던 독립유공자 발굴에 대한 남과 북의 공동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질의했다.

 

지난 2005년과 2018년 두 차례에 걸쳐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서훈 기준 확대가 이뤄졌다. 광복 이후 사회주의 운동을 했더라도, 북한 정권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다면 독립운동을 한 공적을 인정한다는 내용이다.

 

기준의 변경으로 인해 경성트로이카의 대표적 인물인 이재유가 2006년 건국훈장독립장을 받았고,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사건 등으로 유명한 우원식 의원의 외조부인 김한이 2005년 서훈을 받았다.

 

박용진 의원은 “대한민국 정부가 남북이 확연하게 갈려서 선택하기 전, 사회주의 독립 운동가들의 행위를 인정하고 받아들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용진 의원은 “북한도 독립운동가에 대한 발굴작업을 하고 있을 것이고, 우리보다 많은 자료가 있을 것”이라면서 “북한에 자료 협조 등의 요청을 하면 어떠냐”고 덧붙였다.

 

이에 박삼득 처장은 “남북관계를 고려해서 지금 한 발짝 나가지 못하는 형국이다”고 해명했다. 박용진 의원은 “이럴 때일수록 공동 연구 등의 방법으로 남북관계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면서 “항일 기록을 찾고 민족정기를 이어가야 한다. 북한이 거부할리 없고, 국제 제재에 해당 안 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박용진 의원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본인의 선조들이 독립운동을 했는지 연락도 끊긴 채로 기억에서 사라졌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것”이라면서 “정부가 기록을 찾아서 서훈 보상하고, 대한민국 정부에 대한 정통성도 설 것”이라고 당부했다.

 

성창하

성창하

기자

미디어캠프
발행인하성우
편집인하성우
연락처070)4639-5359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4동 502호
미디어캠프

미디어캠프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미디어캠프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