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희 국회 부의장
최근 5년간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장애인 인터넷 지원 서비스 제공 실적이 상당히 저조해, 장애인의 온라인 교육권이 침해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국회 김상희 부의장이 한국교육방송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장애유형별로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 범위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경우 인터넷 지원 서비스 5개 항목 초등, 중학 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 직업/자격증 중 ‘평생교육 콘텐츠’만 제공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EBS 측은 “장애인 인터넷 지원 서비스 예산이 줄곧 부족했던 탓에 장애유형별 콘텐츠 제공 범위에 차이가 있었다"라고 해명했다.
이에, 김상희 부의장은 “장애 여부 그리고 장애유형에 따라 교육에 차별이 있어서는 안 된다. EBS가 장애인 온라인 교육권의 차별적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EBS 제출자료에 따르면, 장애인 인터넷 지원 서비스 예산은 지난 5년간 2억 5천만 원으로 동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EBS는 2억 5천만 원의 예산 중 2억 원을 시청자 미디어 재단으로부터 지원받고 있었으며, 5천만 원만을 자부담 처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EBS 측은 “화면 해설이나 수어 1편을 제작하는 데 드는 비용이 자막 1편보다 훨씬 비싸다. 서비스별 제공 단가가 다르다 보니, 제공 프로그램 수에 큰 차이가 난 것 같다"라고 답변했다.
과방위 김상희 부의장은 “코로나19로 언택트‧비대면 교육이 대안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정책적 대처가 미흡해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교육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은 아닐지 심히 우려스럽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 부의장은 “EBS는 학교교육을 보완하고 국민의 평생교육과 민주적 교육발전에 이바지해야 할 법적 책무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EBS가 장애인 인터넷 지원 서비스를 대폭 확대하도록 이번 국정감사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겠다. 장애인의 온라인 교육권 확대에 적극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성창하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