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
각각 체선료 납부 현황, 발전소별 저탄장 포화율, 자체부두소유현황 및 톤당 체선료 지표
발전 5사가 최근 5년간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지 못해 선주에게 보상한 체선료가 3,468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이 발전공기업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전 5사가 지불한 체선료는 3,468억 원에 달했다. 2017년 525억 원, 2018년 754억 원, 2019년 1,054억 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남동발전이 최근 5년 동안 지불한 체선료는 1,033억 원에 달했고, 이는 발전 5개사 전체 체선료의 30%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서부발전 770억 원(22.2%), 중부발전 704억 원(20.2%), 남부발전 548억 원(15.8%), 동서발전 412억 원(11.8%) 순이다.
발전 5개사 중 석탄 구입량이 가장 많은 곳은 남동발전으로 1억 1,885만 톤을 구입했고, 가장 적은 곳은 중부발전으로 6,039만 톤을 구입했다. 그러나 톤당 체선료는 중부발전이 1,166원으로 남동발전(869원)보다 1.3배 수준이었다.
이는 남동발전의 자체 부두가 5개인 반면 중부발전은 2개에 불과하고, 중부발전의 저탄장 포화율이 2019년 기준 보령 99%, 신보령 100%로 부두와 저탄장의 효율적 운용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2019년 기준, 5개 발전소의 저탄장 포화율은 각각 남동발전 영흥 83%, 삼천포 72%, 남부발전 하동 93.8%, 삼척 58.7%, 동서발전 당진 84%, 서부발전 태안 79.2%, 중부발전 보령 99%, 신보령 100%였다.
황운하 의원은 “체선료는 화물의 선적·하역이 제때 이뤄지지 못해 발생하는 일종의 연체이자다.”며,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줄이기 위해 발전 5사는 2010년 체결한 물량교환 협약 등을 준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창하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