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인구보건복지협회와 함께 실시한 2020년 수유시설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인구보건복지협회와 함께 실시한 2020년 수유시설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매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수유시설 관리로 쾌적·안전한 수유 환경 조성을 위해 실시된다.
이번 조사는 총 1725개 수유시설을 대상으로 작년 7월부터 10월까지 인구보건복지협회 조사원들이 현장을 직접 방문해 시설 이용현황과 환경, 청결 상태 등을 점검했다.
조사대상인 1725개소 전체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직전 조사결과보다 이용자 수는 줄었고, 아이를 동반한 아빠가 이용할 수 있는 시설비율과 필수물품 비치율 등은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이용자 수가 11명 이상인 시설비율은 225개소 13.1%로 직전 조사 결과인 25.6%보다 12.5%p 낮게 나타났으며, 그 원인은 작년 초부터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19 등으로 보인다.
아이를 동반한 아빠도 이용할 수 있는 수유시설은 이번 조사대상 1725개소 중 1530개소인 88.7%로 가족수유실 비율이 전년보다 8.3%p 높게 나타났다.
시설관리 주기는 97.0%인 1673개소가 하루 1회 이상 관리하고 있었고, 하루 2회 이상 관리시설도 1341개소 77.8%였다.
수유실 필수물품 설치도 직전 조사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725개소 중 쇼파는 1675개소, 손소독제는 1540개소에 설치돼있었으나, 기저귀교환대와 탁자는 상대적으로 설치율이 낮았다.
수유실 내 비치 물품 청결 상태와 바닥 오염도는 깨끗하다는 비율이 94.8%, 보통 이상을 포함하면 99.5%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유시설 환경 관리기준 준수율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도, 온도, 습도, 소음은 대부분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전 조사에서 ’매우 양호‘로 조사된 1178개소를 제외한 1577개소를 2019년도와 비교해 살펴보아도 전반적으로 시설 관리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지방자치단체와 관계기관에 공유해 지침 기준에 미달하는 곳은 '수유시설 관리 표준 지침'이 지켜질 수 있도록 관할 보건소 등에 지도를 요청하고, 올해도 전국단위 실태조사를 지속해서 실시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최종균 인구아동정책관은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수유시설 관리 표준 지침이 정착시키고, 수유 환경을 더 쾌적하고 안전하게 관리하여 모유 수유와 육아 편의가 증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수유시설을 더 쉽게 찾고 이용할 수 있도록 수유시설 검색 홈페이지에 정보를 계속 추가로 등록·관리하고, 가이드라인을 정비해 이용자 접근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은호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