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축산환경‧소독의 날’ 축산농가 인식 개선 및 깨끗한 축산환경 마련

이은호 기자

등록 2021-01-08 14:51

축산환경 개선 참여농가 2020년 4월 2만 6500농가→12월 3만 6800농가, 약 39% 증가

축산환경·소독의 날 연계해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홍보 및 지도·점검 병행해 미세먼지 저감 유도

축사 외부 청소 (사진=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작년 4월부터 매주 수요일 ‘축산환경·소독의 날’을 확대 운영, 축산농가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가축질병 예방 및 축산악취 저감 등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에서는 그동안, 축산환경‧소독의 날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농축협·생산자단체 등과 협력해 리플릿, 포스터, 현수막, 마을방송, 문자발송 등을 통하여 농가의 참여를 독려해 왔다.

 

그 결과, 참여농가가 축산환경‧소독의 날 시행 초기인 작년 4월 2만 6500농가에서 작년 12월에는 3만 6800농가로 약 39%로 증가했으며,참여농가 중 주 2회 청소‧소독, 악취저감제 사용 및 분뇨처리시설 밀폐화 등을 통한 악취 저감, 축사 주변 녹지조성, 친환경 천적 곤충을 활용한 해충 구제 등 농가의 자발적인 축산환경개선 활동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

 

또한, 2025년까지 1만호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깨끗한 축산농장을 2020년에는 2019년 800호 대비 약 28% 증가한 1022호를 신규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축산환경‧소독의 날을 활용하여 가축방역 및 미세먼지 저감 등의 개선조치도 병행 추진하고 있다. 지자체와 농축협의 방제차량을 이용하여 전통시장, 철새도래지 등 방역취약지역의 소독‧방역 및 소규모 농가 등 취약농가의 소독 및 구충 활동을 지원해 축산농가로의 가축질병 병원체 유입을 차단하고 있으며,

 

축산환경‧소독의 날에 문자발송, 마을방송, 홈페이지 게재 등을 통해 농가의 퇴비부숙 관리, 농장 청소 등 미세먼지 저감활동 등에 대한 지도‧점검을 함께 실시해 축산분야의 미세먼지 저감을 유도하고 있다.

 

농식품부에서는 향후 농가의 참여 확대 및 농가 인식 제고를 위해 축산환경‧소독의 날 행사의 성과에 대한 홍보를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우선, ’축종별 축산환경 개선 및 관리 동영상‘을 제작·배포하고, 축산환경관리원 홈페이지와 유튜브 등을 통해 홍보해, 모든 축산농가가 축산환경‧소독의 날에 참여하도록 할 계획이다.

 

축산환경 개선 및 관리 동영상에는 ▲축사내부, ▲축사외부, ▲가축분뇨처리시설, ▲농장주변 관리사항들을 축종별로 체계적이고 알기쉽게 시연하는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축산환경 개선 및 관리 동영상 주요 내용 (자료=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부는 또한, 축산환경소독의 날과 연계해 현장 우수사례 발굴 및 홍보를 강화하고, ‘축산환경개선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추진해 모든 축산 농가가 축산환경 개선에 적극적으로 참여토록 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 정경석 축산환경자원과장은 그동안 가축사육이 지속 증가하는 등 축산업이 양적으로는 크게 성장했으나, 가축분뇨 처리 및 악취관리 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커진 것도 사실이라고 하면서,

 

축산환경‧소독의 날 행사를 모든 축산인이 참여하는 축산 환경 및 인식 개선 활동으로 확대해 깨끗하고 안전한 축산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지자체와 농가, 농협 및 생산자 단체 등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했다.

 

이은호

이은호

기자

미디어캠프
발행인하성우
편집인하성우
연락처070)4639-5359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4동 502호
미디어캠프

미디어캠프 © 미디어캠프 All rights reserved.

미디어캠프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