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는 ‘청소년에게 불건전한 교제를 조장 또는 매개할 우려가 있는 무작위 채팅앱’에 대해 12월 11일부터 18일까지 점검을 실시해, 청소년 보호법을 위반한 74개 채팅앱에 대해 시정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지난 11일 시행된 안전한 대화서비스를 위한 기술적 조치가 없는 무작위 채팅앱의 청소년유해매체물 결정·고시에 따라 국내 사업자의 채팅앱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점검 결과 국내 사업자의 무작위 채팅앱은 332개로 파악됐다. 이는 11월 점검 시 408개였으나, 앱마켓에서 상당수의 앱이 판매 중단됐고, 앱마켓에는 게시되어 있으나 운영을 중단해 정상적인 앱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332개 중 55개(16.6%)로 파악돼 고시 시행에 따라 성매매 등 불건전 만남을 유도하는 무작위 채팅앱이 감소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운영 중인 277개 앱에 대해 세부 점검을 실시한 결과, 고시에 따른 최소한의 기술적 안전조치가 없어 청소년유해매체물에 해당되는 앱은 89개(32.1%)로 파악됐다. 청소년유해매체물에 해당되는 무작위 채팅앱 89개 중 청소년유해표시와 함께 별도의 성인인증 절차를 두는 등 청소년 보호법상 의무를 이행한 앱은 15개였으며, 나머지 74개 앱은 이를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여성가족부는 청소년 보호법을 위반한 74개 무작위 채팅앱 사업자에게 법 위반 사항을 내년 1월 7일까지 시정토록 요구했다.
국내 랜덤 채팅앱 단속 이후 변화 현황 (자료=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는 내년 1월 중 74개 앱에 대한 2차 점검 및 2차 시정 요구를 진행한 후에도 사업자가 법 위반행위를 지속하는 경우 사법기관에 형사 고발하고, 앱마켓 사업자에게도 상품판매 중단을 요청할 방침이다.
한편, 국외사업자의 무작위 채팅앱에 대해서도 1월까지 점검을 완료해 청소년유해매체물에 해당되는 경우, 국내에 유통되지 않도록 앱마켓 사업자에게 상품판매 중단을 요청할 방침이다. 또한, 앱 운영의 변동 가능성을 고려해 현재 운영을 중지한 앱 55개 뿐만 아니라 신규 채팅앱을 포함한 모든 채팅앱에 대해 수시로 점검해 지속적으로 법 위반 사항을 시정토록 할 계획이다.
여성가족부 최성유 청소년정책관은 “인증을 거친 회원관리가 되지 않아 익명성에 기반해 범죄수단으로 악용될 우려가 있던 무작위 채팅앱이 이번 고시를 통해 익명성이 해소되는 등 안전성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성매매 등 범죄 피해를 당한 위기청소년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뿐만 아니라, 온라인상 안전한 채팅 환경이 조성되도록 점검과 감시체계를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은호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장생포 고래를 품다…장생 아트플렉스 설계공모 '웨일 프레임' 당선
- 해수부, 연안크루즈 체험단 18팀 모집…부산~제주 3박 4일 일정
- 포천시, '2025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협약 체결
- 주광덕 남양주시장, 도농고 진로 특강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 전달
- 2025년 4월 수출 582억 달러…3개월 연속 증가세 이어가
- 2025년 1분기 기업 무역실적, 대기업 중심 수출입 감소세
- 대변화 시작…신길2구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명품 주거지 탈바꿈
- 2025년 4월 수출입 운송비용, 항로 따라 혼조세 보여
- 군포시,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사업 찾아가는 이동상담소 본격 운영
- 경기도의료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로 보호자 없는 안심 병동 서비스 제공